전기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복지할인 제도를 알고 계신가요? 정부는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계층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지금부터 대상자, 할인 금액, 신청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.
✅ 전기요금 복지할인 대상자
구분 | 대상 조건 및 할인 내용 |
---|---|
장애인 |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등록 장애인 월 최대 16,000원 할인 (여름철 20,000원) |
국가유공자 |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1~3급 상이자 월 최대 16,000원 할인 (여름철 20,000원) |
독립유공자 | 본인 또는 유족 1인에 한함 월 최대 16,000원 할인 (여름철 20,000원) |
기초생활수급자 |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: 월 최대 16,000원 할인 (여름철 20,000원) 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: 월 최대 10,000원 할인 (여름철 12,000원) |
차상위계층 | 관련 법령에 따른 차상위계층 월 최대 8,000원 할인 (여름철 10,000원) |
대가족/다자녀/출산가구 | 주민등록표상 5인 이상 가구, 자녀 또는 손자녀 3인 이상,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 영아 포함 가구 전기요금의 30% 할인 (월 최대 16,000원, 여름철 20,000원) |
5·18민주유공자 | 5·18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른 1~3급 상이자 월 최대 16,000원 할인 (여름철 20,000원) |
생명유지장치 사용자 | 산소발생기, 인공호흡기 등 생명유지장치 사용자 전기요금의 30% 할인 (할인 한도 없음) |
사회복지시설 |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전기요금의 30% 할인 (주택용, 일반용, 심야전력) |
📌 할인은 신청일로부터 일수 계산하여 적용됩니다.
📝 신청 방법
1. 온라인 신청
-
한전 사이버지점(https://online.kepco.co.kr/)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.
-
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하면 증빙서류 제출이 간편합니다.
2. 전화 신청
-
한전 고객센터(국번 없이 123)로 전화하여 상담원 안내에 따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3. 방문 신청
-
가까운 한전 지사나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📌 신청 후 1~2일 내에 결과가 통보됩니다.
📄 제출 서류
대상자 | 제출 서류 |
---|---|
장애인 | 전기요금할인신청서, 장애인등록증 또는 복지카드 사본 |
국가유공자/독립유공자/5·18민주유공자 | 전기요금할인신청서, 관련 증명서류 사본 |
기초생활수급자/차상위계층 | 전기요금할인신청서, 수급자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사본 |
대가족/다자녀/출산가구 | 전기요금할인신청서, 주민등록등본, 출생증명서 등 |
생명유지장치 사용자 | 전기요금할인신청서, 의사진단서 또는 소견서, 처방전 등 관련 서류 |
사회복지시설 | 전기요금할인신청서, 사회복지시설 신고증 또는 허가증, 위탁계약서 등 관련 서류 |
📌 온라인 신청 시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하면 일부 서류 제출이 생략될 수 있습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신청하면 언제부터 할인되나요?
A. 신청일로부터 일수 계산하여 할인 적용됩니다.
Q. 자격 조건이 변동되면 재신청해야 하나요?
A. 네, 자격이 변경되었을 경우 반드시 갱신 신청하셔야 합니다.
Q. 여름철엔 얼마나 할인되나요?
A. 여름철(6~8월)에는 할인 한도가 상향되어 적용됩니다.
📌 마무리 안내
전기요금 복지할인은 정부가 보장하는 제도이며, 신청만 하면 매달 전기요금이 자동으로 할인됩니다. 특히 여름철 전기료가 걱정된다면, 오늘 바로 신청하셔야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
0 댓글
📌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. 단,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.